탁상게임 취미생활(56)
-
카드 섞기와 슬리브(프로텍터)
목차 카드 섞기 슬리브(프로텍터) 제품 정보 재질 구분: 매끄러움 / 덜 매끄러움 두께 구분: 얇음/두꺼움/중간 매수 크기 표시 방법: 슬리브 크기, 카드 크기 맞는 크기 찾는 법 매트 포장 여담 카드 섞기 카드 섞는 방법에도 설명이 필요한가? 싶으실 수 있지만요. 예, 필요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하는 섞기(셔플) 방법은 힌두 셔플입니다. 힌두 셔플은 카드의 순서가 별로 바뀌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타짜, 마술사분들은 카드 순서를 다 외우기도 한답니다. 좋은 방법은 '파로셔플+컷'입니다. 이 글에 파로 셔플, 딜 셔플, 컷의 각 방법이 나와있습니다. 보드게임 커뮤니티 보드라이프 보드게임 전문 커뮤니티, 보드게임 순위, 보드게임 쇼핑, 비마켓, 이노펀딩 boardlife.co.kr 딜 셔플은 카드를 ..
2021.01.17 -
배경음악(영상) 추천: 아캄호러카드게임, 데드오브윈터
데드오브윈터 youtu.be/ddo8Mz2ZtFo 아캄호러카드게임~ https://www.youtube.com/watch?v=pAHciSqi1-8 https://www.youtube.com/watch?v=LptTKfrHSi4 https://www.youtube.com/watch?v=gzgpxvTf1Wg https://youtu.be/qL3osHj-Myc https://www.youtube.com/watch?v=ppiGTLqfaWc bgm
2021.01.12 -
게임 설명하는 법, 일반인과 게임하기 등
새로 정리해서 쓸까 했으나 기약이 없어서 우선 기존 글 그대로 링크 올립니다. 2. 보드게임 플레이는 어떨 때 재미없을 수 있는가. 보드게임 커뮤니티 보드라이프 보드게임 전문 커뮤니티, 보드게임 순위, 보드게임 쇼핑, 비마켓, 이노펀딩 boardlife.co.kr 3. 일반인과 게임하기 보드게임 커뮤니티 보드라이프 보드게임 전문 커뮤니티, 보드게임 순위, 보드게임 쇼핑, 비마켓, 이노펀딩 boardlife.co.kr
2021.01.12 -
탁자 등 플레이에 필요한 물건들
이 글에서는 탁자와 의자, 플레이매트(+화구통), 주사위트레이에 대해 말씀 드립니다. 탁자 필요한 탁상 넓이 게임용 탁자는 최소 80cm*120cm입니다. 이보다 작으면 매니악(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하는 게임 대부분을 돌릴 수 없습니다. 80*150도 괜찮고 80*180도 괜찮습니다. 실제 써보면 '불필요하게 넓다'는 생각이 안 듭니다. '긴 쪽이 얼마 이상이냐'보다 '좁은 쪽이 최소 얼마인가'가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70*150보다 80*120이 훨씬 좋습니다. 좁은 쪽이 80 미만이 되면 돌릴 수 없는 게임이 아주 많기 때문입니다. TG 커뮤니티를 보면 요즘에는 '좁은 쪽이 최소 90 이상이어야 한다'는 견해도 많이 보입니다만 그런 조건이 필요한 게임은 거의 없습니다..
2021.01.11 -
랙(책장/선반) 고르기. +게임들의 크기 정보
요약:- 선반은 위아래 폭당 공간 32cm 이상 되는 6단 짜리를 사는 게 좋습니다.- 게임은 아그리콜라(이하 아콜) 크기가 흔합니다(높이 31.7cm). 비교적 유명한 게임들 크기 정보를 취합해 아래에 써보았습니다.목적은 제가 왜 6단짜리 선반을 추천하는지 근거 대기 위함입니다. 많은 분들이 선반 추천 요청들을 하시는데, 가성비도 가성비지만흔히, 보관할 게임 크기를 잘 몰라서 그러기도 한다고 생각됩니다. 위 아래 폭이 게임보다 좁으면 넣을 수가 없는데, 그렇다고 무한정 넓은 걸 살 수도 없으니까 말입니다. '특이하게 큰 게임'은 몇 개 안 되니까, 뚫린 선반 맨 위에 두거나 바닥에 가로로 두면 됩니다.흔한 크기가 얼만지 알면 되는데 아콜, 티켓투라이드(이하 T2R) 크기가 흔한 크기입니다.긱에서 개별 ..
2021.01.10 -
게임 번역 자료 받는 곳 / 만드는 법
자료 받는 곳 보통 필요한 자료는 규칙서 자료, 카드 등 언어 패치 자료입니다. 웬만한 유저 자료는 보드라이프 자료실에 있습니다.(각 출판사 사이트의 유저 자료실은 많이들 문을 닫았습니다.) 그리고 출판사로서 규칙서 파일을 공개한 곳으로 다이브다이스 공식자료실, 보드엠 팩토리, 행복한 바오밥, 별빛바다, 다이스트리(보드피아), 로터스프로그, 보약, 라벤스부르거코리아가 있습니다. 외국 출판사들 역시 규칙서 파일을 공개 게시하고 있습니다. 각 출판사 사이트에 들어갈 것 없이 그냥 긱에서도(개별 게임 페이지 file 탭)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밖에 유저 자료가 있는 블로그들이 있습니다. 구글 검색이나 커뮤니티 질문 등으로 찾아보아야 알 수 있습니다. 몇 개 꼽으면 다음이 있습니다. 도스군님 블로그..
202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