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5)
-
후기-책-돼지가 철학에 빠진 날
원제는 'The Philosophy Files'이다. 한국판 제목은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따라 지은 것으로 보인다. 돼지 그림은 아마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낫다."는 J. S. 밀의 명언 때문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누군가가 철학 책을 추천해달라고 할 때 나는 이 책을 추천해왔다. 첫째, 이 책은 쉽다. 지금까지 철학 책을 안 읽어오다가 이제 막 읽기 시작해볼까 하는 사람들은 처음부터 너무 읽기 수고로운 책을 접하면 '역시 책은, 역시 철학은 나랑 안 맞아' 하고 중도 하차할 것이다. 어려우면 뭔가 훌륭한 거라고 잘못 아는 사람들도 있는데, 어려운 건 좋은 게 아니다. 소통이 비효율적인 것이다. 둘째, 불편하게 자의적인 것이 없다. 유명한 철학자의 책을 보면 '어쩌고..
2021.08.21 -
후기-책-속 깊은 이성 친구
작가가 '얼굴 빨개지는 아이'를 쓴 장 자끄 상뻬여서 관심 가지고 있던 책이다. 책을 펼치자, '나 이거 읽었던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 난 이 책을 이미 읽었었다. 그런데 거짓말처럼 잊고 있던 것이다. 다시 잘 보니 그럴 만했다고도 느껴졌다. 쪽마다 화자가 계속 바뀐다. 내용은 짤막한, 사랑에 대한 감상 같은 거랄까. '사랑은 인상적이다, 다 알기 어렵다. 우리는 미숙하다...' 이런 내용이다. 나쁜 책은 아니다. 다만 지금 읽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아, 훌륭한 이야기를 찾으려 신경이 곤두서 있는 나를 만족시켜주는 책은 아니었다. 만족도: 5/10
2021.08.18 -
삶
삶추구할 바유전자가 추구하는 바는 유전자 존속인 것 같지만개체가 추구할 바는 생존보다도 행복이라고 본다. 행복이란 무엇인가?우선 '즐거움'을 생각해본다.즐거움/괴로움은 생존과 관련된 것에서 느낀다.¶ 영양 섭취를 안 하면 죽는다.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적당히 배부름을 느낄 때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먹고 싶은 특정 먹거리를 먹지 못하거나 배가 고플 때 괴로움을 느낄 수 있다.행복 관해서는 하버드 대에서 한 연구가 있다. 저자 조지 베일런트는 이 성인발달연구가 75년이 된 시점에, 연구 결과 내용을 담은 책 「행복의 조건」을 냈다. 「행복의 조건」 후기 연구 결과 행복에 가장 유의미한 것은 다음 6가지라고 한다.1. 성숙한 방어기제2. 안정적인 결혼 생활(따뜻한 인간관계)3. 금주(알코올 중독은 위..
2021.08.16 -
후기-책-롤리타
내가 생각했던 이야기는, 롤리타가 아니라 키다리 아저씨 쪽이었던 것 같다.(키다리 아저씨도 아직 읽기 전이지만) 소설 롤리타는 내가 생각한 것과는 다른 부분들로 가득했다. 첫째, 남주인공이 그렇게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는 점과, 둘째, 남주인공이 돌로레스를 만나기 전부터 그 나잇대 여자에게만 관심이 있는 것이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었다. 지금 쓰는 이 후기에서 돌로레스는 롤리타라고, 남주인공이 부른 애칭으로 적지 않고 원래 이름인 돌로레스로 적는 것도 남주인공에 대한 내 반감의 표현이다. 나는 남주인공이 원래부터 14세쯤의 여자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한 사람(돌로레스)를 보고 반했을 뿐일 줄 알았다. 아니었다. 애나벨과의 만남(이별) 후 남주인공은 9세~14세 여자에게만 관심이 있었고,..
2021.08.16 -
게임 방식에는 저작권이 없다?
뻔뻔하게도,작가랍시고, 남의 훌륭한 작품을 베껴 제품을 내면서 "규칙에는 저작권이 없기 때문에, 괜찮을 거라고 생각했다"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재판에서 위법 여부에 대해 무죄 판결이 난 것은"피고가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것이 확실하다"가 아닙니다."피고가 범죄를 저질렀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입니다. 범죄를 안 저지른 것일 수도 있고, 저질렀는데 모르는 것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판례에서 게임 규칙에 대해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은 것은, 그 사건들에서 '이 내용을, 이 게임만의 고유한 것이라고 해도 될지 모르겠다'는 취지에서'이걸 침해라고 해도 되는지 모르겠다' 한 것이지, '게임 규칙이라는 것은, 게임 규칙이기만 하면 절대 저작권이 인정될 수 없다'고 한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게임 메커니즘..
2021.08.16 -
장면 연출이 훌륭하면 되레 싫다.
유명한 작품은, 작품 속 이야기가 훌륭해서 유명한 작품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작품들도 많다. 사회가 특별히 변화하던 시기에, 그 시대상이 반영돼서 유명한 작품들도 있고 장면 연출 기법이 훌륭해서 유명한 작품들도 있다. 나는 유명한 작품을 볼 때, 이야기 이외 부분이 훌륭하면 탄식이 나온다. "젠장! 이것도 장면 연출이 훌륭하잖아! 이야기의 훌륭함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겠군." 하고 말이다.
2021.08.15